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4

슈퍼 컴퓨터부터 사물 인터넷까지 해당 게시글 블로그 : https://summerlaftel07.tistory.com/66 이 글은 1일 1로그 100일 완성 IT 지식을 참고하여 작성한 글 입니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1380986 1일 1로그 100일 완성 IT 지식 복잡한 IT 세상을 선명하게 읽는 디지털 문해력 기르기 챌린지IT 지식은 분명 복잡하지만 인생처럼 혼잡하지는 않다.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면 막연한 불안감에서 벗어나 디지털 지구가 제시하는 book.naver.com 슈퍼 컴퓨터부터 사물 인터넷까지 컴퓨터하면 대부분 노트북, 데스크톱 컴퓨터를 떠올리지만, 그 밖에도 작은 컴퓨터들이 있다. 이러한 컴퓨터들은 모두 논리적 구조, 즉 무엇을 계산할 수 있는.. 2022. 5. 27.
SpringBoot build에 jar이 없을 때 springboot하면서 끝난 프로젝트 외부로 배포 할려고 FileZila에 build → libs → .jar를 찾을려고 하는 파일이 없어서 난감했다. 그럴때 어떻게 생성하는지 한번 알아보자 jar이란 먼저 jar이라는것은 Java Archieve를 줄여서 jar이라고 명칭한다. Java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동작할 수 있도록 ZIP 파일 압축 기반으로 만들어진 파일이다. 빌드 방법 및 실행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터미널를 켜 $ ./gradlew bootJar 명령어를 입력한다. 실행 시킬려면 jar 파일로 가 java -jar를 입력해 실행해도 되고,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터미널를 켜 $ ./gralew bootRun 명령어를 입력해 실행 시킬수도 있다. 2022. 5. 27.
프로세서는 무조건 빠른게 좋을까 해당 게시글 블로그 : https://homelsy.tistory.com/10 프로세서의 대표적인 흐름으로, 프로세서는 인출/해석/실행을 무한 반복한다. 프로세서의 속도를 높이는 방법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명령어 파이프라이닝 프로그램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CPU 내부 명령어 처리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동시에 처리하는 기술 2단계 파이프라이닝 명령어를 실행하는 하드웨어를 인출 단계(fetch stage)와 실행 단계(execute stage)의 두 개의 파이프라인 단계들로 분리하여 구성 실제 실행 단계는 오퍼랜드를 읽고 저장하고, 연산을 실행하는 등 행위가 많기에 보다 많은 시간이 소요됨 명령어의 인출과 실행이 각각 동일한 시간이 걸릴 때 유용함. 4단계 파이프라이닝 IF : 명령어 인출(From .. 2022. 5. 25.
JAP Entity 클래스에서 id를 Long 타입으로 해야하는 이유와 Wrapper 클래스 Entity 클래스의 id 컬럼 변수 타입을 보면 Long으로 지정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왜 int, long이 아닌 Long 타입으로 사용했을까? 기본타입(primitive type) 기본 값은 0인데 만약 id에 입력 값이 없을 때 0인지, 아니면 null 값인지 구분하기 어려워 null 값을 정확하게 처리하기위해 Wrapper 클래스인 Long, Integer 등을 쓴다. 래퍼 클래스(Wrapper class) 자바의 자료형은 기본타입(primitive type)과 참조 타입(reference type)으로 나눠진다. 기본 타입은 정수, 실수, 문자, 논리 리터럴을 저장하는 타입이고 참조타입은 배열, 열거, 클래스, 인터페이스 등 객체의 위치를 참조하는 타입니다. 래퍼클래스란 8개의 기본 타입에.. 2022. 5. 24.
JPA의 개념 JAP(Java Persistence API)란 무엇일까? JAP는 Java ORM 표준 스팩이다. 여기서 ORM은 Object-Relational Mapping을 의미하는데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매핑한다는 뜻이며, 기술적으로는 객체와 데이터베이스를 매핑해 각자의 역할에 맞게 설계를 가능하도록해 패러다임의 불일치한 부분을 개발자 대신 해결해준다. JAP란 Java 진영의 ORM 기술 표준으로 사용 자바 어플리케이션에서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는 방식을 정의한 인터페이스 모든 SQL를 개발자 대신해서 JPA가 자동으로 해결 JAP 사용하는 이유 ☞ 생산성 데이터베이슬르 SQL 쿼리문을 작성하고 그것을 JDBC API를 사용하는 지루하고 반복적인 일을 JPA가 해결해준다. 즉, 지루하고 반복적인.. 2022. 5. 22.
비트 모아 데이터 이 글은 1일 1로그 100일 완성 IT지식을 참고하여 내용을 정리합니다. 우리는 살아가는데 있어서 10진수을 이용해 수학적으로 접근 하기에 0~9의 숫자로 계산하고 보는 것이 더 편하다. 하지만 컴퓨터에게는 2진수이 더 쉽게 다가온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컴퓨터가 2진수를 사용하는 이유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전기로 동작하는 기계이다. 컴퓨터 내부에는 수많은 트렌지스터가 존재하는데 여기서 트랜지스터란 트랜스(Trans, 바꿈)과 레지스터(Resistor, 저항)의 합성어로 전자회로 내에서 전자의 증폭과 스위칭을 담당하는 반도체 소자로 전기신호를 받아 작동한다. 전기 신호는 ON/OFF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신호가 들어오면 ON 또는 TRUE 상태이고 이때 컴퓨터는 1로 인식하며 반대로 신호가 없으면 OFF .. 2022. 5. 21.